-
DFS(Depth First Search), 깊이 우선 탐색하기
스택 + 재귀함수
- 최대한 깊이 내려가서 더 이상 깊이 갈 곳이 없을 경우 옆으로 이동하는 방식
- 모든 노드 방문할 때 사용
- BFS 보다 간단
def dfs(start, visited): visited += [start] # 방문노드 update for c in range(len(matrix[start])) : # start 번째 행 조사 # start와 정점들아 연결되어있음 and c가 방문노드 리스트에 없음 if matrix[start][c] == 1 and c not in visited: dfs(c, visited) return visited
BFS(Breadth-First Search), 넓이 우선 탐색하기
큐
- 최대한 넓게 이동한 후 더 이상 갈 수 없을 때 아래로 이동
- 시작 노드에서 인접한 노드를 먼저 탐색(방문)하는 방법
- 주로 두 노드 사이 최단 경로를 찾고 싶을 때 이 방법 사용
def bfs(start): visited += [start] queue = [start] while queue: n = queue.pop(0) for c in range(len(matrix[start])): if matrix[n][c] == 1 and c not in visiited: visited.append(c) queue.append(c)
백준 ; DFS와 BFS
그래프를 DFS로 탐색한 결과와 BFS로 탐색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단, 방문할 수 있는 정점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정점 번호가 작은 것을 먼저 방문하고, 더 이상 방문할 수 있는 점이 없는 경우 종료한다. 정점 번호는 1번부터 N번까지이다.
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(1 ≤ N ≤ 1,000), 간선의 개수 M(1 ≤ M ≤ 10,000), 탐색을 시작할 정점의 번호 V가 주어진다. 다음 M개의 줄에는 간선이 연결하는 두 정점의 번호가 주어진다. 어떤 두 정점 사이에 여러 개의 간선이 있을 수 있다. 입력으로 주어지는 간선은 양방향이다.
첫째 줄에 DFS를 수행한 결과를, 그 다음 줄에는 BFS를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. V부터 방문된 점을 순서대로 출력하면 된다.
n, m, v = map(int, input().split()) matrix = [[0] * (n + 1) for _ in range(n + 1)] for _ in range(m): line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matrix[line[0]][line[1]] = 1 matrix[line[1]][line[0]] = 1 def bfs(start): visited = [start] queue = [start] while queue: n = queue.pop(0) for c in range(len(matrix[start])): if matrix[n][c] == 1 and (c not in visited): visited.append(c) queue.append(c) return visited def dfs(start, visited): visited += [start] for c in range(len(matrix[start])): if matrix[start][c] == 1 and (c not in visited): dfs(c, visited) return visited print(*dfs(v,[])) print(*bfs(v))
미로찾기
N×M크기의 배열로 표현되는 미로가 있다.
1 0 1 1 1 1 1 0 1 0 1 0 1 0 1 0 1 1 1 1 1 0 1 1 미로에서 1은 이동할 수 있는 칸을 나타내고, 0은 이동할 수 없는 칸을 나타낸다. 이러한 미로가 주어졌을 때, (1, 1)에서 출발하여 (N, M)의 위치로 이동할 때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한 칸에서 다른 칸으로 이동할 때, 서로 인접한 칸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.
위의 예에서는 15칸을 지나야 (N, M)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. 칸을 셀 때에는 시작 위치와 도착 위치도 포함한다.
첫째 줄에 두 정수 N, M(2 ≤ N, M ≤ 100)이 주어진다. 다음 N개의 줄에는 M개의 정수로 미로가 주어진다. 각각의 수들은 붙어서 입력으로 주어진다.
첫째 줄에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출력한다. 항상 도착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.
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 # matrix 배열 matrix = [input().rstrip() for _ in range(N)] # 방문경로 배열 visited = [[0]*M for _ in range(N)] # 좌/우/위/아래 방향 이동 dx, dy = [-1, 1, 0, 0], [0, 0, -1, 1] queue = [(0,0)] visited[0][0] = 1 while queue: x, y = queue.pop(0) if x == N-1 and y == M-1: # 최종 경로 도착 print(visited[x][y]) break for i in range(4): nx = x + dx[i] ny = y + dy[i] if 0 <= nx < N and 0 <= ny < M: if visited[nx][ny] == 0 and matrix[nx][ny] == '1': visited[nx][ny] = visited[x][y] + 1 queue.append((nx,ny))